1. 제사장을 위한 제사 규정들(레위 6,8-7,38)
일반적으로 이전 까지 묵상하였던 1,1-6,7은 평민을 위한 규정이고, 오늘부터 묵상할 6,8-7,38은 제사장을 위한 규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오늘부터의 본문들은 전체적으로는 제사장을 위한 제사 규정으로 가득 차 있지만, 청중으로 평민들을 초대하고 있으며 평민을 제외하지 않는다. 제사장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평민들이 제사장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줌 제사장과 평민들이 함께 이루어 가는 제의 공동체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별히 제사장의 몫에 대해 상세히 알리면서, 제사장에 관한 정보를 공개함으로 불필요한 오해의 소지들을 없애고 평민들이 제사장을 신뢰하며 자발적으로 제사장과 협력하여 가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성직의 지나친 성역화현상에 대한 좋은 경고의 말씀이 될 수 있다.
2. 본문의 구조
3. 메시지
1) 제단 위의 불은 항상 타고 있어야 한다.
오늘 본문의 중심 구절이자 제사장의 중요한 임무 중의 하나는 제단 위의 불을 꺼뜨리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이 것을 위해서 제사장은 아침마다 제단 위에 장작을 지펴야 한다. 순서적으로는 제사가 시작 되기 전, 즉 제사와는 별도의 행위이지만 이 것 역시 제사에 포함된다. 우리가 흔히 '준비찬양'이라는 말을 쓰는 것이 잘못 된 것이 이런 이유에서이다. 찬양은 예배를 '준비'하는 순서가 아니라, 그 자체가 예배가 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주일날 아침에 집을 나서는 순간부터 예배는 시작되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것들이 예배, 즉 하느님을 섬기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2. 우리는 날마다 하느님 앞에서(Coram Deo:코람데오)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제사장은 장작을 지피기 위해서 날마다 회막으로 들어가야 한다. 요즘으로 말하자면 예배를 준비하기 위해서 날마다 교회당으로 가는 것을 말한다. 물론 하느님께서는 무소부재(無所不在: 계시지 않은 곳이 없음)하신 분이지만 상징적으로 그 분은 회막 안에 임재하시고 교회당에 임재하시는 분이시다. 다른 말로, 날마다 회막에 들어가고 교회당에 들어간다는 것은 날마다 하느님 앞으로 나아간다는 뜻이다. 날마다 하느님 앞으로 나아갈진대 몸가짐을 바르게 하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으며 언행을 조심하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이 바른 몸가짐과 언행의 조심은 날마다 이루어져야 한다. '코람데오의 신앙'의 모범을 우리는 창세기 39장에 나온 요셉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4. 기도
사랑의 하느님 주일날 교회에 가서 11시에 시작되어 12시 30분이면 예배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예배 시간을 중심으로 한 모든 시간이 하느님을 향한 예배이자 하느님을 섬기는 시간이라는 것을 깨닫게 하시고, 날마다 하느님 앞에서 살아가는, 하느님의 자녀로서의 자의식을 느끼며 살아가게 도와 주시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일반적으로 이전 까지 묵상하였던 1,1-6,7은 평민을 위한 규정이고, 오늘부터 묵상할 6,8-7,38은 제사장을 위한 규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오늘부터의 본문들은 전체적으로는 제사장을 위한 제사 규정으로 가득 차 있지만, 청중으로 평민들을 초대하고 있으며 평민을 제외하지 않는다. 제사장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평민들이 제사장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줌 제사장과 평민들이 함께 이루어 가는 제의 공동체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별히 제사장의 몫에 대해 상세히 알리면서, 제사장에 관한 정보를 공개함으로 불필요한 오해의 소지들을 없애고 평민들이 제사장을 신뢰하며 자발적으로 제사장과 협력하여 가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성직의 지나친 성역화현상에 대한 좋은 경고의 말씀이 될 수 있다.
2. 본문의 구조
A. 번제를 드릴 때의 규례 8-13 1. 야웨의 말씀 8-9a 2. 번제를 드릴 때의 규례 9b-11 a. 번제물에 대하여 9b b. 제사장에 대하여 10a c. 다 탄 번제물 10b-11a d. 제사장에 대하여 11b 3. 제단 위의 불 12-13
3. 메시지
1) 제단 위의 불은 항상 타고 있어야 한다.
오늘 본문의 중심 구절이자 제사장의 중요한 임무 중의 하나는 제단 위의 불을 꺼뜨리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이 것을 위해서 제사장은 아침마다 제단 위에 장작을 지펴야 한다. 순서적으로는 제사가 시작 되기 전, 즉 제사와는 별도의 행위이지만 이 것 역시 제사에 포함된다. 우리가 흔히 '준비찬양'이라는 말을 쓰는 것이 잘못 된 것이 이런 이유에서이다. 찬양은 예배를 '준비'하는 순서가 아니라, 그 자체가 예배가 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주일날 아침에 집을 나서는 순간부터 예배는 시작되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것들이 예배, 즉 하느님을 섬기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2. 우리는 날마다 하느님 앞에서(Coram Deo:코람데오)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제사장은 장작을 지피기 위해서 날마다 회막으로 들어가야 한다. 요즘으로 말하자면 예배를 준비하기 위해서 날마다 교회당으로 가는 것을 말한다. 물론 하느님께서는 무소부재(無所不在: 계시지 않은 곳이 없음)하신 분이지만 상징적으로 그 분은 회막 안에 임재하시고 교회당에 임재하시는 분이시다. 다른 말로, 날마다 회막에 들어가고 교회당에 들어간다는 것은 날마다 하느님 앞으로 나아간다는 뜻이다. 날마다 하느님 앞으로 나아갈진대 몸가짐을 바르게 하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으며 언행을 조심하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이 바른 몸가짐과 언행의 조심은 날마다 이루어져야 한다. '코람데오의 신앙'의 모범을 우리는 창세기 39장에 나온 요셉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4. 기도
사랑의 하느님 주일날 교회에 가서 11시에 시작되어 12시 30분이면 예배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예배 시간을 중심으로 한 모든 시간이 하느님을 향한 예배이자 하느님을 섬기는 시간이라는 것을 깨닫게 하시고, 날마다 하느님 앞에서 살아가는, 하느님의 자녀로서의 자의식을 느끼며 살아가게 도와 주시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성서 공부 >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 5,14-6,7(속건제사에 대하여) (0) | 2011.09.03 |
---|---|
레위기 5,1-13(특수한 경우의 정화제사) (0) | 2011.09.03 |
레위기 4,1-35(속죄제, 정화제사 에 대하여) (0) | 2011.09.03 |
레위기 3,1-17(화목제에 대하여) (0) | 2011.09.03 |
레위기 2,1-16(소제에 대하여) (0) | 2011.09.03 |